Search

(1) 명사의 주격과 접속사 에트et

1. imitatio et aemulatio 이미타티오 에트 아이물라티오 2. et tu, Brute 에트 투 브루테 3. SPQR(senatus populusque Romanus) 세나투스 포풀루스퀘 로마누스

imitatio et aemulatio

(이미타티오 에트 아이물라티오)

라틴어는 고대 로마 사람들이 쓰던 언어입니다.
로마 문명은 그리스 문명과 많이 닮았습니다. 그리스 로마 신화 이름을 걸고 나온 책을 보면, 그리스 신화가 거의 대부분이고, 로마 신화는 그리스 신의 이름을 로마 신의 이름으로 고쳐주는 정도, 그리고 로마 나라의 건국 신화가 덧붙은 정도입니다. 로마 사람이 그리스 문화를 많이 따라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래서 로마 문화의 특징을 ‘모방과 경쟁’이라고 합니다. 모방과 경쟁은 라틴어로  imitatio et aemulatio (이미타티오 에트 아이물라티오)라고 합니다.
라틴어 imitatio는 영어로 imitation이고 라틴어 aemulatio는 영어로 emulation입니다. 영어 emulation에는 ‘대등하게 되려고 본뜸’이라는 뜻과 ‘경쟁’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라틴어와 영어 어휘가 모양도 같고 뜻도 같습니다. 라틴어의 수많은 어휘가 영어에서 그대로 고상한 말, 어려운 말로 쓰입니다.
흥미롭습니다. 그리스 문화를 로마 문화가 본받았고, 로마 문화를 이후의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 미국 문화가 열심히 따라했으니까요. 어찌 보면 서구 문명 전체가 그리스 문화에 대한 imitatio et aemulatio라고 볼 수도 있겠네요.
영어 단어와 라틴어 단어, 똑같이 닮았는데 차이가 하나 있지요. imitatioaemulatio 끝에는 없는 ‘n'이 영어 imitaion과 emulation에는 있습니다. 끄트머리의 ’n'은 어디서 왔을까요? 사실은 라틴어 명사의 숨은 형태입니다. 어떤 라틴어 명사들은 주어로 쓰일 때 원래 형태 일부를 숨깁니다. 변화할 때는 n이 나오는데, 주어로 쓰일 때, 즉 주격(1격이라고도 합니다)일 때는 n이 숨습니다. 이 숨은 형태에 관한 이야기가 라틴어 명사 변화에서 가장 흥미롭고도 까다로운 부분이 될 것입니다. 차차 알아가도록 하겠습니다.
영어 and(우리말 ‘그리고’)에 해당하는 단어가 라틴어 et(에트)입니다. et에 관해 세 가지 흥미로운 이야기를 말씀드릴게요.
첫째로 프랑스어 et(에)가 라틴어 et와 같습니다. 프랑스어에서는 모양이 그대로 살아남았습니다. 다만 끄트머리의 자음이 발음되지 않지요.
둘째로 영어로 and를 뜻하는 ‘&’ 기호는 라틴어 et에서 E를 크고 둥글게 쓴 형태입니다. 어떻게 그렇게 된 것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숫자 3의 오른쪽 왼쪽을 뒤집어 쓴 것 같은 E자를 쓰고 t자를 아주 작게 붙였습니다. 이 모양이 & 기호로 발전한 것입니다. 크리스마스 카드 등에 쓰이는 예쁜 손글씨 캘리그래피에는 Et의 형태가 종종 잘 살아남습니다.
다양한 & 기호 속에 Et의 모양이 살아있습니다.
셋째로 수학에서 더하기를 나타내는 ‘+’ 기호입니다. 이것은 앞서와 반대로, et를 흘려 쓰며 e가 작아지고 t가 커진 모양입니다. e가 차츰 작아지고 t의 십자 모양만 남은 형태입니다. 3 더하기 5(3+5)는 3 et 5(3 그리고 5)에서 온 것입니다.
et이라는 단어가 혹시 기억이 안나신다면 이렇게 프랑스어 et과 &과 +를 생각해주시면 되겠습니다.

Caesar와 et tu, Brute

(카이사르) (에트 투 브루테)

프랑스 화가 제롬이 그린 “카이사르의 죽음”. 왼쪽 아래 쓰러져 죽은 사람이 카이사르입니다.
라틴어 et는 영어 and의 뜻으로 많이 쓰입니다. 때때로 영어 also의 뜻으로도 쓰입니다. 유명한 문장이 et tu, Brute (에트 투 브루테)입니다. 영어로 “And you, Brutus” 또는 “Also you, Brutus”, 우리말로 “너 또한 브루투스여”입니다. 그 유명한 “브루투스, 너마저도”가 이 문장입니다.
고대 로마 사람 가운데 가장 유명한 사람은 역시 Iulius Caesar 율리우스 카이사르겠지요. 이 사람의 이름에서 황제라는 단어가 나왔습니다. 독일의 카이저Kaiser, 러시아의 차르tsar는 여기서 나온 말입니다.
아무려나 이 유명한 카이사르가 죽을 때 “브루투스, 너마저도”라는 말을 남겼다고 흔히들 알고 계십니다. et tu, Brute에서 tu는 ‘너’입니다. 영어의 you, 프랑스어의 tu입니다. 이 문장에서 et은 우리말로 ‘그리고’보다 ‘또한’이 적절합니다.
브루테Brute는 사람 이름 브루투스Brutus가 명사 변화한 것입니다. ‘브루투스여’라고 이름을 부를 때 씁니다. 호격이라고 합니다. 사람을 부를 때 명사 형태가 바뀌는 경우가 가끔 있습니다.

그런데 사실 카이사르는 “et tu, Brute”라는 말을 하지 않았습니다.

이 말은 영국시인 셰익스피어의 비극 <줄리어스 시저>에 나오는 대사입니다. 이 연극에서 카이사르와 로마 사람들은 영어로 대화를 나눕니다. 그러다가 카이사르가 죽을 때 무대 위에서 라틴어로 “에트 투, 브루테!”라고 외칩니다. 죽음의 순간에 고상한 라틴어를 쓰는 카이사르의 교양에, 영국 관객은 감탄을 했겠지요.
원래는 무어라고 했을까요? 카이사르와 로마 사람들이 영어로 말했을 리는 없고, 이 사람들은 라틴어로 대화를 했습니다. 칼침을 맞고 쓰러질 때, 무대 위의 줄리어스 시저가 영어를 쓰는 사람들이 어렵게 생각하던 말인 라틴어를 내뱉은 것처럼, 로마의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라틴어를 쓰는 사람들이 고상하다고 생각하던 그리스어를 내뱉었다고 합니다. “kai su, teknon! 카이 쉬 테크논"이라고요.
그리스말 카이kai는 라틴어 에트et, 그리스말 쉬su는 라틴어 투tu입니다. “너 역시” 또는 “너마저도”로 새길 수 있습니다. 테크논teknon은 “아이야” 또는 “아들아” 정도가 될 것입니다. 즉 카이사르가 칼을 맞고도 “아들아(브루투스야), 너마저도”라고 고상하게도 그리스어로 외쳤다는 이야기입니다. 후세 사람들은 라틴어를 쓰는 로마 문화를 대단하다고 생각하지만, 로마 사람들은 그리스어를 쓰는 그리스 문화가 대단하다고 생각했다는 일화가 되겠습니다.
“카이사르의 죽음”을 그리기 위한 제롬의 습작.

S.P.Q.R.

senatus populusque Romanus

(세나투스 포풀루스퀘 로마누스)

고대 로마 이야기가 나온 김에 한 가지 예문만 더 보겠습니다.
고대 로마 나라를 가리키는 어휘는 S.P.Q.R.입니다. senatus populusque Romanus(세나투스 포풀루스퀘 로마누스)의 줄임말입니다. 로마누스 Romanus는 “로마의”를 뜻하는 형용사입니다. 세나투스 senatus는 영어로 senate입니다. 로마의 원로원을 가리킵니다. 포풀루스 populus는 나중에 포퓰리즘populism이라는 말의 어원이 됩니다. 영어로 people, 즉 인민 대중입니다.
S.P.Q.R.senatus Romanuspopulus Romanus를 나란히 쓴 말입니다. 로마의 원로원과 인민 대중이라는 뜻입니다. 원로원은 상류층을, 인민 대중은 평민을 뜻합니다.
로마 공화국의 역사를 보면 로마의 세나투스, 즉 원로원과 인민 대중, 즉 포풀루스는 그다지 사이가 좋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나라 밖의 적과 싸울 때는 한편이 되어야 했죠. 둘을 묶어 S.P.Q.R.을 나라 이름으로 쓴 점이 의미심장해 보입니다.
그런데 Q.에 해당하는 -que(쿠에)는 무엇일까요? 쿠에는 라틴어의 독특한 표현입니다. 앞엣말에 붙여써서 et의 뜻을 나타냅니다. populusqueet populus라는 뜻입니다(et의 위치에 주의하세요). 그래서 S.P.Q.R.senatus populusque Romanussenatus et populus Romanus와 같은 말입니다. 라틴어 문장 중간에 -que를 만나시더라도 ‘아, 이것은 원래 et구나’ 생각해주시고 해석하시면 되겠습니다.
세나투스, 포풀루스, 로마누스, 모두 주격(또는 1격)의 형태입니다. 일단 지금은 형용사(로마누스)도 명사(세나투스와 포풀루스)와 같은 꼴로 변하는구나 정도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로마에 가면 맨홀 뚜껑에 “SPQR”이라고 적힌 것을 자주 발견하게 됩니다.
말 끝에 ‘-us 우스’ ‘-us 우스’ 붙으니 장중한 라틴어 느낌이 나죠. 앞으로 자주 만나시게 될 것입니다. 오늘은 두 가지만 짚어 주시면 되겠습니다.
라틴어 명사는 격에 따라 변화함.
et(그리고)는 que와 바꿔쓸 수 있음.

다음에는 '주의 기도' 첫머리를 라틴어로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