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2) 명사의 호격과 기도문

앞에서 우리는 라틴어가 고대 로마의 유산이라는 사실을 살펴보았습니다.
그런데 고대 로마의 유산이기만 했다면 라틴어가 서양 문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훨씬 낮았을 겁니다. 중세 기독교 문명 역시 라틴어를 사용했습니다.
오늘은 기독교 기도문 몇 가지의 첫머리를 살펴보겠습니다. 라틴어 명사의 호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호격은 “신이여“나 ”운명이여”처럼 누군가를 부르는 명사의 격입니다. 기도는 초월적인 존재에게 말을 거는 일이죠. 그래서 호격이 많이 등장합니다. 이름을 부르고 대화를 시작합니다.

pater noster

(파테르 노스테르)

pater noster(파테르 노스테르)는 “우리 아버지여”라는 뜻입니다.

pater noster qui es in caelis

(파테르 노스테르 퀴 에스 인 첼리스)

이 문장은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라는 뜻입니다. 주기도문의 첫머리 입니다.
pater(파테르)는 “아버지여”
noster(노스테르)는 “우리의”
qui es in caelis(퀴 에스 인 첼리스)는 “하늘에 계신”입니다.
qui(퀴)는 관계대명사(영어의 who입니다),
es(에스)는 2인칭 단수로 “있다”는 뜻(영어의 be동사와 같습니다),
in caelis(인 첼리스)는 “하늘에”입니다. 영어 celestial의 선조뻘 되는 말인데요, ‘첼리스’라는 발음은 중세 라틴어 발음의 관행입니다(고대 라틴어라면 ’카일리스‘로 발음한대요).
pater(파테르)는 여기서 호격(“아버지여”)으로 쓰였습니다. 주격(“아버지가”) 역시 pater(파테르)입니다. 모양이 같습니다.
영어 father, 독일어 Vater, 네덜란드어 vader가 같은 뿌리임은 짐작 가능합니다. 네덜란드어 vader가 스타워즈 영화의 다스베이더(Darthvader) 이름과 닮았다고 해서, 다스베이더가 주인공 루크 스카이워커의 아버지라는 사실이 이름에 암시되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보티첼리가 그린 <성모자>입니다.

ave Maria

(아베 마리아)

성모 마리아께 바치는 기도 성모송은 가톨릭 신앙을 가진 사람에게 중요한 기도문입니다. 우리가 잘 아는 노랫말 “아베 마리아”는 성모송의 첫구절 “기뻐하소서 마리아여”라는 뜻의 라틴어입니다.
ave(아베)는 인사할 때 건네는 말로, “기뻐하소서” 정도로 번역합니다.
Maria(마리아)는 여기서 호격입니다. “마리아여”라고 부르는 말입니다. 주격 역시 Maria(마리아)로 같습니다.

salve Regina

(살베 레지나)

기독교 교회음악을 들을 때 라틴어 지식은 요긴합니다. 여러 작곡가들이 작곡한 성음악 가운데 salve regina(살베 레지나)가 있습니다.
salve(살베)는 명령법입니다. 라틴어 인사말입니다. “평안하소서”나 “안녕하소서” 정도로 번역합니다.
regina(레지나)는 “여왕이시여”라고 부르는 호격입니다. 여왕이란 성모 마리아를 뜻합니다. 주격도 regina(레지나)입니다. (고대 라틴어라면 관행상 ‘레기나’로 읽습니다.)
regina의 반대말은 rex(렉스), “남자 왕”이라는 뜻입니다. rex 역시 주격도 호격도 rex입니다. 기독교 음악에 자주 등장하는 단어입니다.

veni Creator Spiritus

(베니 크레아토르 스피리투스)

명령법 동사+호격 명사로 구성되는 라틴어 음악을 하나 더 살펴보겠습니다. veni Creator Spiritus(베니 크레아토르 스피리투스)는 “오소서, 창조주이신 성령이여”라는 뜻입니다.
veni(베니)는 명령법으로 “오라” 또는 “오소서”라는 뜻입니다.
creator(크레아토르)는 “창조자” 또는 “창조주”라는 뜻입니다. 영어 creator와 꼭 닮았습니다. 이 문장에서 호격으로 쓰여 “창조자여” 또는 “창조주시여”라는 뜻으로 새깁니다. 주격도 creator(크레아토르)로 똑같습니다.
spiritus(스피리투스)는 “영”, 여기서는 “성령”이라는 뜻입니다. 영어 spirit와 같습니다. 역시 이 문장에서 호격으로 쓰여 “성령이시여”라는 뜻입니다. 주격도 spiritus(스피리투스)입니다.
말러 교향곡 8번 “천인교향곡” 첫머리가 veni Creator Spiritus(베니 크레아토르 스피리투스)입니다.
Hymnus ''Veni Creator Spiritus'' - (Gustav Mahler, Symphony No.8 / Franz Welser-Möst)
링크를 누르면 말러 교향곡 8번 첫부분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 “베니 크레아토르 스피리투스”

O Fortuna

(오 포르투나)

기도문이 아니라 중세의 세속적인 노래에도 라틴어가 쓰였습니다. 칼 오르프는 세속적인 노래 carmina burana(카르미나 부라나)에 노래를 붙였습니다. 가장 유명한 노래가 첫 곡 O Fortuna(오 포르투나)입니다. 뜻은 “아아 운명이여” 또는 “아아 운명의 여신이여” 정도가 되겠습니다.
O(오)는 감탄사입니다. “아아”나 “오오”로 옮기면 되겠습니다.
Fortuna(포르투나)는 “아아 운명이여” 또는 “아아 포르투나(운명의 여신의 이름)여”로 옮깁니다. 호격입니다. 영어 fortune이 여기서 나왔습니다. 주격 Fortuna(포르투나)도 모양이 같습니다.
카르미나 부라나 첫째 곡 O Fortuna를 가사를 음미하며 따라 부르는 것이 이 라틴어 노트의 목적 하나입니다. 간단한 문법을 익히시면 노래방처럼 아래 영상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O Fortuna | Carmina Burana | Carl Orff (lyrics)
The powerful opening piece "O Fortuna" from the cantata Carmina Burana, composed by the German composer Carl Orff in 1936. This version is performed by James Levine and the Chicago Symphony Orchestra and Chorus, released on Deutsche Grammophon Records. The complete work is available on Amazon: http://www.amazon.com/Carmina-Burana-Carl-Orff/dp/B000001G5X The lyrics Carl Orff used for Carmina Burana come from a medieval manuscript dating to around the early 13th century also named Carmina Burana. The piece "O Fortuna", also known as "Fortuna Imperatrix Mundi" (Fortune, Empress of the World), chooses the capricious nature of Fortune as its subject, which was a popular theme in the later Middle Ages, personified through the wheel of Fortune. The original text, provided below, is in Medieval Latin: ----------------- O Fortuna, velut luna Statu variabilis, Semper crescis aut decrescis. Vita detestabilis, Nunc obdurat et tunc curat, Ludo mentis aciem. Egestatem, potestatem Dissolvit ut glaciem. Sors immanis et inanis, Rota tu volubilis, Status malus; vana salus Semper dissolubilis. Obumbrata et velata Mihi quoque niteris. Nunc per ludum, dorsum nudum Fero tui sceleris. Sors salutis et virtutis Mihi nunc contraria, Est affectus et defectus Semper in angaria. Hac in hora sine mora Corde pulsum tangite. Quod per sortem sternit fortem Mecum omnes plangite! ----------------- O Fortune, just as the moon Stands constantly changing, Always increasing or decreasing. Detestable life, Now difficult, then easy, Deceptive sharp mind. Poverty, power It melts them like ice. Monstrous fate and empty, You whirling wheel, Stand malevolent; well-being is vain And fades to nothing. Shadowed and veiled, You plague me too. Now through the game, my bare back I bring to your villainy. Fate in health and in virtue Is now against me, Driven on and weighted down, Always enslaved. So at this hour without delay Pluck the vibrating string. Since Fate strikes down the strong Everyone weep with me! ----------------- Thank you, Rex Falsus Disclaimer: All the music and images in this video belong to their rightful owners and creators, to whom all credit goes. I am not making a profit from this video, but intend it purely for educational purposes and to expose more people to these wonderful works. I do not intend any copyright infringement and will gladly remove this video if asked to.
“오 포르투나”. 링크를 클릭하시면 유튜브 영상으로 이어집니다. 가사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호격과 주격이 다른 경우

지금까지 보신 명사는 호격과 주격이 형태가 같습니다. 라틴어 명사는 대개 호격과 주격이 같아요. 그런데 가끔 둘의 모양이 다른 경우가 있어, 라틴어 배우는 사람을 괴롭힙니다.
명사 pater(파테르)는 주격도 pater, 호격도 pater입니다. Maria(마리아)며, regina(레지나)며, creator(크레아토르)며, spiritus(스피리투스)며, Fortuna(포르투나)도 주격과 호격이 같습니다.

et tu, Brute?(에트 투 브루테)

그런데 우리는 호격과 주격의 형태가 다른 명사를 이미 앞에서 살펴보았습니다. “et tu, Brute?”(에트 투 브루테)에서 Brute(브루테)가 호격입니다. 주격은 Brutus(브루투스)입니다.
일단 지금은 다음 사항만 아시면 됩니다. 복잡한 것은 차차 조금씩 설명드리려고 해요.
라틴어 명사는 주격과 호격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명사는 주격과 호격이 같은 모양입니다(pater, creator, spiritus, fortuna).
가끔은 주격과 호격이 다른 명사가 있습니다(Brutus-Brute).

다음에는 요한 복음 첫머리를 라틴어로 읽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