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6) 태양 아래 새로운 것

지금까지 명사의 주격, 호격, 탈격, 여격, 대격을 맛보기 하였습니다.
이번에는 전치사 + 탈격(제5격, ablative)에 대해 더 알아보겠습니다.

sicut in caelo et in terra

(시쿠트 인 첼로 에트 인 테라)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주의 기도’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부분부분 뜯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sicut(시쿠트) : ~와 같이. sic(시크)와 ut(우트)가 합한 단어입니다.
in caelo(인 첼로) : 하늘에서. in+탈격(제5격)입니다.
그런데 주기도문 첫머리에서 우리는 in caelis(인 첼리스)라는 형태를 보았습니다.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를 라틴어로 pater noster qui es in caelis(파테르 노스테르 퀴 에스 인 첼리스)라고 했지요.
in caelo(인 첼로) in caelis(인 첼리스)는 둘 다 in+탈격 형태입니다. 다만 in caelo(인 첼로)는 단수인데, in caelis(인 첼리스)는 복수 탈격 형태입니다.
일단 지금은 단수 탈격이 모음으로 끝나고(in caelo), 복수 탈격이 -is나 -ibus로 끝난다(in caelis)는 사실만 염두에 두시면 되겠습니다.
et(에트) : ~도 역시. 자주 보던 낱말입니다.
in terra(인 테라) : 땅에서. in+탈격(제5격)입니다. 단수 탈격이 ‘-a’ 모음으로 끝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편, 탈격(ablative)은 in말고 다른 전치사와 함께 쓰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이미 전치사+탈격(제5격)의 예를 여럿 살펴보았습니다. 오늘도 몇 가지 살펴보겠습니다.
in principio(인 프린치피오)
in ipso(인 입소)
in tenebris(인 테네브리스)
in vino(인 비노 또는 인 위노)
in Arcadia(인 아르카디아)
ex nihilo(엑스 니힐로)
ex oriente(엑스 오리엔테)
pro omnibus(프로 옴니부스)
pro uno(프로 우노)

nulla poena sine lege

(눌라 포이나 시네 레게) 법 없이는 처벌도 없다
이 문장은 우리말로 옮길 때 조금 까다롭습니다. 부분부분 뜯어보겠습니다.
nulla(눌라) : 영어로 not any 정도의 뜻이라고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우리말로 옮길 때 “~이 없다”고 서술어처럼 번역합니다.
poena(포이나) : 우리말로 ‘벌’입니다. 페널티킥이라고 할 때 영어 penalty의 어원이기도 합니다.
sine(시네) : 영어로 without의 뜻을 가진 전치사입니다. ‘~없이는’이라는 뜻입니다.
lege(레게) : ‘법’을 뜻하는 렉스(lex)의 탈격(제5격)입니다. 단수 탈격이 이번에는 ‘-e’ 모음으로 끝났습니다.
sine lege(시네 레게) : 전치사+탈격. “법 없이는”이라고 해석합니다.
법에 정한 대로 법에 따라 벌을 주어야 한다는 의미가 되겠습니다.

nihil sub sole novum

(니힐 수브 솔레 노붐) 태양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
전도서 1장 10절의 아름다운 문장이지요. 고전 공부하는 사람들이 특히 좋아하는 문장이기도 합니다. 우리말로 옮길 때 조금 까다롭습니다.
nihil(니힐) : 영어로 nothing입니다. 우리말로 옮길 때 ‘~이 없다’고 서술어처럼 번역합니다.
nihil(니힐)은 허무주의를 뜻하는 니힐리즘nihilism의 어원입니다.
sub(수브) : ‘아래’를 뜻하는 전치사입니다. 영어 subway(서브웨이, 땅 아래 철도)나 subculture(서브컬처, 하위문화) 등에 살아남은 단어입니다.
sole(솔레) : ‘태양’의 탈격(5격)입니다. 모음 ‘-e’로 끝났습니다. 이탈리아 가곡 오 솔레 미오(O Sole Mio)에 그대로 남은 단어입니다.
sub sole(수브 솔레) : 전치사+탈격. ‘태양 아래에’라고 해석합니다.
novum(노붐) : ‘새로운’을 뜻하는 형용사입니다. 중성명사인 nihil(니힐)에 맞춘 형태입니다.
우리말로 옮기면, ‘없다, 태양 아래 새로운 (것)은’이 되겠습니다. “태양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
주의 : 한 가지 짚고 넘어갈 사실이 있습니다. 전치사 뒤에 언제나 탈격(5격)이 오는 것은 아닙니다. 독일어의 경우에도 여격(3격) 전치사, 대격(4격) 전치사를 구별해서 쓰지요? 라틴어도 전치사 뒤에 여러 격이 쓰이고 뜻이 다릅니다. 차차 알아가려고 합니다.

정리

다양한 라틴어 전치사(in, ex, pro, sine, sub 등)가 탈격(5격)과 쓰입니다.
전치사가 언제나 탈격하고만 쓰이는 것은 아닙니다. 여격(3격)과 대격(4격)과도 쓰입니다.
nihil sub sole novum(니힐 수브 솔레 노붐)은 멋있는 성경 구절이니 기억하면 좋습니다.